뉴스 원본:
https://n.news.naver.com/article/003/0011710765?sid=105
한국어 능통한 챗GPT 대항마 내놓나…네이버 '서치GPT' vs 카카오 '코챗GPT'
기사내용 요약 네이버-카카오, 한국어 특화 AI 모델 활용 네이버, 27일 데뷰서 하이퍼클로바 기반 '서치 GPT' 공개 전망 카카오, 코GPT 기반 '코챗GPT' 상반기 공개 챗GPT 등 외산 AI는 아직 한국어
n.news.naver.com
http://www.todaykorea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05637
[챗GPT-②] 한국판 ‘챗 GPT’…네이버‧카카오도 GPT 도전장 - 투데이코리아
투데이코리아=박희영 기자·김시온 기자 | 오픈AI의 ‘챗 GPT’를 시작으로 글로벌 기업들이 초거대 AI 시장에 뛰어든 가운데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기업도 도전에 나섰다.초거대 AI는 단순히
www.todaykorea.co.kr
<기사 요약>
* 네이버-카카오, 한국어 특화 AI 모델 활용
- 초거대 AI : 단순히 입력된 정보를 그대로 답하는 것이 아닌 사람이 생각하는 것처럼 딥러닝을 통해 기존에 학습한 데이터를 재조합해 질문을 이해하고 답을 출력하는 방식
- 미국 AI 연구기업 오픈AI의 '챗GPT'와 마이크로소프트(MS)의 AI 챗봇 '빙(Bing)', 모두 영어에 비해서 한국어 응답 수준이 상대적으로 떨어짐 (개발로직 자체가 영문, 학습 데이터 중 97%가 영문이기 때문)
- 네이버 & 카카오 ➡️ 축척된 한국어 데이터셋이 해외 사업자들보다 압도적으로 많음. 이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AI 서비스 고도화
* 네이버 '서치 GPT'
- 기존의 키워드 검색 방식 대신 사용자가 질문하면 AI 챗봇이 대화체로 답변하고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
- 네이버의 고품질 검색 데이터와 기술을 접목
- 2월 27일 개막한 '개발자 컨버런스 데뷰 2023'에서 '하이버클로바X' 선보임
- 국내 최초 한국어 특화 AI 언어모델, 매개변수 2040억개
- 지난해 9월부터 AI 기술로 검색을 고도화하는 '오로라 프로젝트' 추진 (복잡한 형태의 검색어를 입력해도 최적의 결과를 보여주는 것)
- 언어모델 '오션'을 기반으로 한 개발중인 '서치 GPT', 이번 상반기 공개 예상
* 카카오 '코챗GPT'
- 카카오 AI 전문 연구 계열사 카카오브레인, '코(Ko)챗GPT(가칭)' 공개 계획
- 올 상반기 한국어 특화 AI 모델 '코GPT-3.5' 버전 공개, 이를 기반으로 하는 '코챗 GPT' 출시 목표
- 공개된 코GPT: 60억개의 파라미터(매개변수)와 2000억개 토큰의 한국어 데이터 학습
- AI 기반 모델 ➡️ 매개변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 AI 성능을 높일 수 있음
- 경쟁 AI 모델 대비 적은 규모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지만, 효율성 측면에서 비용 경쟁력으로 차별화 (적은 수의 매개변수로도 경쟁사 못지 않은 성능 입증)
- '코GPT'를 활용한 버티컬 AI 서비스 선보일 계획
'Marketing Insight > News Clipp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마케팅 뉴스 스크랩]#24. 고객이 스스로 찾아서 보는 '오퍼월 광고' (0) | 2023.03.08 |
---|---|
[마케팅 뉴스 스크랩]#23. 식음료업계, MZ세대 사로잡는 ‘오감마케팅’ (0) | 2023.03.05 |
[마케팅 뉴스 스크랩]#21. 2030 사로잡은 '위스키 열풍' (0) | 2023.02.21 |
[마케팅 뉴스 스크랩]#20. 일본 죽쑤는데, 한국 백화점은 왜 날아오를까 (0) | 2023.02.13 |
[마케팅 뉴스 스크랩]#19. 제니·슬램덩크 ‘디깅러 세상’ 왔다…불황속 신인류 “행복하게 살래” (0) | 2023.02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