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rketing Insight/News Clipping

[마케팅 뉴스 스크랩]#38. 밀값은 떨어졌는데 왜 라면 가격은 그대로? '그리드플레이션(Greedflation)'

sohyunkimmm 2023. 8. 7. 13:59
728x90

https://dmktnews.com/View.aspx?No=2876941

 

[트렌드핫키] 은근슬쩍 올리는 가격, 그리드플레이션 - 디지털마케팅뉴스

요새 삼삼오오 모여 식사라도 하면 '물가가 너무 올랐어'라고들 합니다. 점심 식사만 해도 식당에서 만 원이 훌쩍 넘어버리고, 마트에서 장을 봐도 금세 2-30만 원이 되어버리니까요. 2022년부터

dmktnews.com

http://www.greened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05462

 

“밀가루 값 내리면 라면 값 내려야?”...식품기업 괴롭히는 마녀사냥 ‘그리드플레이션’ - 녹

최근 ‘그리드플레이션(greedflation)’이 유통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. ‘그리드플레이션’은 탐욕과 물가 상승의 합성어로, 기업들이 전쟁 등 외부 환경을 핑계로 상품의 가격을 과도하게

www.greened.kr

https://www.edaily.co.kr/news/read?newsId=01151286635676816&mediaCodeNo=257&OutLnkChk=Y

 

밀값 내렸는데 파스타값 왜 오르지?…'그리드플레이션' 논란

[이데일리 최정희 기자] ‘국제 밀값은 떨어졌는데, 왜 라면, 파스타 가격은 그대로인 거지?’ ‘그리드플레이션(Greedflation)’ 논란이 확산된 것은 이런 작은 의문에서 시작됐다. 물가 상승 억제

www.edaily.co.kr

 

https://www.etoday.co.kr/news/view/2270749

 

[인플레 새로운 주범은?] “기업 탐욕” vs “과도한 임금인상”…전문가들은 “둘 다 틀렸어”

인플레이션 장기화 속 원인에 대한 의견 분분기업의 탐욕에 의한 가격 상승 주장 제기돼“수급 불균형 속 정당한 행위” 반박근로자 임금 인상이 원인

www.etoday.co.kr

 

 

 

 그리드플레이션?

 

 

- 탐욕을 의미하는 그리드(Greed)인플레이션(Inflation)의 합성어; 기업 탐욕에 의한 물가 상승

 

- 오르는 국제 물가를 이유(러시아, 우크라이나 전쟁)로 상품 가격을 올려 이익을 부풀려 물가 상승을 초래하는 기업의 행동

 

- 가격 인상 요인이었던 원자재 값이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상품 가격에 반영하지 않는 것

 

 

 

 

 

기업이 비용 흡수하면 물가 잡히나?

 

 

- 기업이 누적된 비용 부담을 자체 흡수할 경우 물가가 잡힐 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림

 

- IMF: 유로존의 물가상승 요인을 분석한 결과 45%는 기업 이익 때문이라 분석

 

- 반론: 물가를 잡는 것은 기업이 아닌 중앙은행의 몫 이라는 지적, 중앙은행 수요 억제에 더 집중해야 한다 주장

 

 

 

 

 

의혹과 오해 (기업입장)

 

- 지난 6, CJ제일제당과 대한제분 등 제분업체들이 일제히 밀가루 가격 인하

 

- 농심, 오뚜기, 삼양, SPC, 뚜레쥬르 등 제빵 업계, 일부 제품 가격 인하

 

- 하지만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음

 

- 식품업계의 고충: 원재료 값이 인하되더라도 총 원가에는 큰 영향 없는 경우 多

 

- 라면의 경우 밀가루가 원재료이지만 부재료(스프, 고기 등)값이 원가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큼 / 원가뿐아니라 판관비 등 부대비용의 영향까지 고려해야함

 

 

 

 

또 다른 원인 '임금인플레이션'?

 

 

- '임금인플레이션(Wage Push Inflation)': 임금이 너무 과도하게 올라 제품이나 서비스 가격에 인건비가 전가돼 물가가 오르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

 

- '그리드플레이션'(물가 상승의 원인 = 기업) & '임금인플레이션'(물가 상승의 원인 = 개인 인건비 인상)

전문가, 두 가지 이론 모두 물가 상승 원인의 단면만 본 잘못된 해석

 

- 이코노미스트, 대표적인 물가 상승의 주범 = '정부 정책 실수' 

⇒ 2020~2021년, 조 바이든 행정부, 재난지원금 성격으로 대다수 미국인에게 세 차례에 걸쳐 현금 지급(전체 가구의 85%, 국내총생산의 25% 이상의 예산 규모)

정부 정책으로 촉발된 수요 급증으로 인한 기업들의 이윤 증가 : 저금리 기조에서 현금이 생긴 시민들의 소비 ->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수요 급증 -> 공급난으로 인한 가격 상승 -> 기업들의 이윤 급증 

 

 - 공급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가격 인상 = 공급과 수요를 맞물리도록 하는 매게체로 볼 수 있음

 

- 임금인플레이션에 초점을 맞춘 물가 대응책의 부작용

영국의 지속적인 임금 상승 <-> 물가 상승률 최저치 기록, 여전히 임금 상승 폭이 물가 상승 폭 앞지르지 못하는 중 (영국의 임금 상승률 = 평균 7.3%, 물가 상승률 = 7.9%)

⇒ 임금 상승을 억제하는 데에 정책 초점이 맞춰지게 될 경우 경기 침체 우려 커짐

 

- 공급 측면 활성화 방안 : 금리 인상, 임금 인상 억제의 부작용 보완

'스태그플레이션'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음 (*경제불황 속에서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상태; 저성장고물가 상태)

지속 가능한 생산성 성장에 대한 전망 높이고 국자 성장 잠재력 확장 가능

728x90
반응형